부하직원을 감동하게 하는 리더에 대해서
부하직원을 감동하게 하는 리더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하버드 대학교의 교육심리학과 교수인 하워드 가드너는 리더란 다른 사람의 심리 영역을 제대로 다루는 사람이라고 말했습니다. 재미있는 것은 사람들은 때로 다섯 살 난 아이의 마음을 상대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고 덧붙였습니다. 심리학자들에 의하면 사람의 마음은 이미 다섯 살 때 결정된다고 했습니다. 사람은 다섯 살만 되어도 집단구성원으로서 자기를 다른 사람과 구별하고, 누가 높은 사람이고 힘 있는 사람인지에 대한 위계질서가 잡히며, 그 속에서 자기 위치를 정한다고 합니다. 그뿐만 아니라 리더와 추종자 간에 벌어지는 현상이나 동료들 간의 상호작용을 파악하는 데도 능숙하다는 것입니다. 다섯 살 난 어린아이 속에 형성된 이 마음이, 사람에 따라서는 성인이 된 후까지 영향을 미칩니다. 이렇듯 어릴 때부터 형성된 그 나름의 사고방식은 이후 세상을 보는 방식과 가치관을 결정하는 데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결국 다른 사람의 마음 영역을 제대로 다루는 사람이 리더라는 말은 다섯 살 난 아이의 마음을 다룰 줄 아는 능력이 곧 리더십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렇다면 리더가 된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닙니다. 교육 과정에 들어가지도 않은 다섯 살짜리 아이의 마음은 육아 전문가가 아닌 보통 사람이 어찌 파악할 수 있을까요? 더욱이 다섯 살 아이의 마음속에서 일어나는 온갖 저항을 이겨내고 새로운 가치관을 그 속에 자리 잡게 하는 능력 없이는 그러한 리더십이란 불가능할 터입니다. 과연 리더는 어떻게 인간의 마음에 잠재한 다섯 살 심리에 호소력을 발휘할 수 있을까요? 그 방법은 바로 이야기 능력입니다. 사람은 어른이 되더라도 어릴 적에 좋아했던 이야기를 듣는 것에 대한 기본적인 감각은 잃지 않습니다. 즉 누구나 어떤 이야기에 마음의 움직임을 보인다는 것입니다. 이야기는 사람의 내면 깊숙한 곳에 잠긴 보편적인 감수성을 끌어냅니다. 지금까지는 나만 아는 정보인, 즉 팩트가 중요한 권력의 원천이었습니다. 하지만 정보통신기술과 소셜네트워크 등이 발달한 오늘날에는 이른바 나만 아는 정보가 그리 많지 않게 됐습니다. 필요한 정보나 팩트는 네이버, 구글, 트위터, 페이스북에 들어가면 언제든지 얻을 수 있습니다. 이는 요즘 세상에선 단지 팩트나 정보만으로는 다른 사람들에게 영향력을 발휘할 만큼의 강력한 힘을 확보할 수 없다는 의미입니다. 이러한 통찰 아래서 미래학자인 다니엘 핑크는 미래 인재의 조건으로 디자인, 조화, 공감, 놀이, 의미 등과 함께 이야기를 만들어내는 능력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이야기 능력이란 여러 흩어진 요인, 즉 팩트들을 한데 묶어 문맥을 만들고 여기에 감성적 임팩트를 더 해서 제공하는 능력을 말합니다. 팩트만으로는 어떤 의미인지를 잘 모르다가도 전체 이야기를 들어보고 전후 문맥을 파악하면 대부분 쉽게 이해하고 받아들이게 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이야기 능력으로 부하직원과 교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금까지 부하직원을 감동하게 하는 리더에 대해서 살펴봤습니다.